선대유품 및 문적
일가 여러분의 가정 가정마다 웃음소리가 창밖까지 번지는 축복이 있기를 간절히 기원합니다문희공 | 유품 | 묘지석 |
---|---|---|
행촌공 | 유품 | 연화경, 유묵2점 초당과 문금(해동명적에 수록), 춘우와 도강(경남대박물관 소장) |
문경공 | 유품 | 유묵 1점 입추(해동명적에 수록) |
용헌공 | 유품 | 부장유물(도장기 2점) |
청파공 | 유품 | 목판(철설연방집), 옥피리 |
송암공 | 유품 | 목판(용사일기) - 용사일기(龍蛇日記)는 임진왜란이 일어나던 해부터 2년동안 초기 영남일대 전란을 일기형식으로 저술한 것으로 난중일기, 징비록과 더물어 임진란의 3대 기록물이다. 이를 1763년(영조39년) 판각하여 간행하였고, 그 목판이 현재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2호로 지정되어, 함휘각(경상남도 의령군 오방리 소재)에 보존하고 있다. |
창주공 | 유품 | 무의구곡도, 쌍포승첩도(정문부 가문에 소장) |
蓮花經 | 金字8片 잘린 상태, 청원군 북일면 교리 이정수가에 소장 잘린 일부 종손 이남기가에 있다. |